For You, a thousand times ov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For You, a thousand times ov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9)
    • 파이썬 (0)
    • 리눅스 (0)
    • 오라클 아키텍처 (11)
    • SQL (0)
    • PLSQL (0)
    • HADOOP (0)
    • 일기 (0)
    • 오라클 백업 리커버리 (26)
    • 아침 질문 (0)
    • 오라클 퍼포먼스 튜닝 (19)
    • 오라클 : 죽어도 안외워지는 것들 (0)
    • 오라클 : 외울 것들 (0)
    • 오라클 RAC (6)
    • 오라클 구조 (상세 버전) (0)
    • 오류와 그 해결방법 (1)
    • SQL 퍼포먼스 튜닝 (0)
    • 기초거시경제학 (0)

검색 레이어

For You, a thousand times ov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오라클 아키텍처

  • 2023년 12월 8일 5교시 오라클 구조 1. UP, SP, ShP

    2023.12.12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8일 4교시 shutdown 의 여러가지 옵션들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8일 3교시 노마운트 단계와 오픈 단계, read only 모드로 DB 열기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8일 2교시 alert log file, DB shutdown 과 open 시의 단계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8일 1교시 데일리 체크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7일 6교시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7일 5교시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 2023년 12월 7일 4교시

    2023.12.11 by 병아리 엔지니어

2023년 12월 8일 5교시 오라클 구조 1. UP, SP, ShP

2023년 12월 8일 5교시 (칠판 그림) ★ 데이터를 저장하는 논리적인 관점 / 물리적인 관점 DB ↑ tablespace ← Data file ↑ segment ↑ ↑ extent ↑ block ← OS file (논리적) (물리적) (논리적 관점) - block 이 모여 extent 가 만들어지고 - extent 가 모여 segment 가 만들어지고 - segment 가 모여 tablespace 가 만들어지고 - tablespace 가 모여 DB 가 만들어진다. - 오라클의 I/O 단위는 블록 block 단위인데 - 블록의 크기는 2k, 4k, 8k, 16k, 32k (기본값은 8k) 가 있다. (물리적 관점) 실제 데이터는 디스크 안에 OS file로 저장이 되는데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는 여러 ..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2. 08:06

2023년 12월 8일 4교시 shutdown 의 여러가지 옵션들

★ 데이터베이스를 종료해야 할 때 (오라클 종료) ★ shutdown [normal] - normal = 기본 종료 모드 - 새로운 session 을 열 수 없다. (새 연결을 생성할 수 없다 - 접속 불허) - 오라클 서버는 모든 유저가 접속을 끊을 때까지 종료하지 않고 대기한다. (접속한 유저들이 작업을 다 끝내고 제발로 나갈 때까지 기다려 준다.) - shutdown normal 을 던진 DBA는 창이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 데이터 버퍼 캐시 및 리두(redo) 버퍼가 디스크 내에 기록된다. (QUESTION. 이건 normal 말고 transactional 이랑 immediate도 마찬가지지? 데이터 파일과 리두로그 파일을 닫는 shutdown 이면 다 이런 거지?) (ANSWER. 그렇..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41

2023년 12월 8일 3교시 노마운트 단계와 오픈 단계, read only 모드로 DB 열기

2. mount 단계에서 하는 일 - control file을 open - (control file 은 이 단계에서 여는데, 만약 control file 이 깨졌다면 1 단계 nomount 까지밖에 못 올라가므로) - (nomount 단계에서 control file 을 복구해주어야 한다.) - mount 단계에서만 할 수 있는 작업 - Data file 이름 바꾸기 - no archive log mode 를 archive log mode 로 바꾸기 - full database recovery (전체 DB 가 깨져 버린 경우의 복구 작업) - RMAN 을 이용한 close backup (닫힌 백업 / 운영 중에 하는 백업이 아닌, DB 를 내리고 난 다음에 하는 백업) 3. open 단계 - Data fi..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40

2023년 12월 8일 2교시 alert log file, DB shutdown 과 open 시의 단계

DBA 생활을 하려면 무조건 띄워 놔야 하는 창이 있다. 외우기 ★ alert log file - 오라클이 운영되고 종료될 때까지의 내용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 오라클 서버에서 어떤 장애가 발생했거나 문제의 징후가 보일 경우 - 이 파일 내용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 이 alert log file 은 꼭 띄워놓아야 한다. 퍼티 창 하나 더 띄우고 오라클 유저로 접속하기 login as: oracle oracle@192.168.56.102's password: Last login: Thu Dec 7 20:06:21 2023 from 192.168.56.1 [oracle@oracle ~]$ cd $ORACLE_BASE/diag/rdbms/ 여기까지만 일단 오기 여기부터는 이름이 사이..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40

2023년 12월 8일 1교시 데일리 체크

데일리 체크 = 일종의 아침 루틴 데일리 체크 리스트 1. 리스너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가장 먼저 확인하기 lsnrctl status 2. 혹시 리스너가 중단되어 있으면 (내려가 있으면) 클라이언트 쪽에 오류가 나는데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어쩌고저쩌고) 3. 해결방법: 리스너 시작 lsnrctl start 4. 오라클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ps -ef | grep oracle 위 명령어를 수행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DB 가 켜져 있는 것 뜨지 않는다면: 빨리 DB를 스타트업시켜야 한다. ★ daily check list 리눅스 때와는 달리 이제는 루트에서 작업하면 안되고 oracle 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루트는 sql+에 대한 권한이 없어서 +를..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40

2023년 12월 7일 6교시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oracle@oracle ~]$ ps -ef | grep oracle 현재 오라클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하기 [oracle@oracle ~]$ sqlplus / as sysdba SQL+ 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보기 SQL> ! SQL+ 에서의 ! 는 SQL+ 에서 나가라는 명령어, [oracle@oracle ~]$ exit OS 에서의 exit 명령어는 SQL+ 로 도로 돌아가라는 명령어 그리고 아까 OS 에서 오라클의 프로세스들을 확인해봤는데 그걸 SQL+ 에서 확인하려면 똑같은 명령어 앞에 ! 를 붙여서 수행해주면 된다. 그러면 결과가 이렇게 수행된다. (빨간색 표시는 안해주지만) 이제 SQLD 로 한번 접속해보자. 사용자 만들기 접속하면 이렇게 102 세..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39

2023년 12월 7일 5교시

2023년 12월 7일 5교시 아까 옮겨놓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보자. 주의!!!!!!!!!!!!!!!!!!!!!!!!!!!!!!!!!!!! (오라클 계정에서 해야 한다. 루트에서 하면 안된다!!!!!!!!!!!!!!!!!!!!!!!!!!) [oracle@oracle ~]$ ls -l total 2463688 -rw-r--r--. 1 oracle oinstall 1380374377 Dec 7 00:21 p13390677_112040_LINUX_1of7.zip -rw-r--r--. 1 oracle oinstall 1142436991 Dec 7 00:21 p13390677_112040_LINUX_2of7.zip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 확인하기 (운영 DB에서는 절대 다짜고짜 설치부터 먼저 하고 보면 안된다. ..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38

2023년 12월 7일 4교시

계속해서 설치를 해보자. # oracle s/w install directory 이제 우리는 /u01/app/oracle/product/11.2.0.4/db_1 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해야 한다. 그래서 [root@oracle ~]# ↑ 이 옆에 mkdir -p /u01/app/oracle/product/11.2.0.4/db_1 붙여넣고 엔터 그러면 아무 반응도 없는데 그게 정상이니 쫄지 말자. 그리고 이 디렉토리에 대한 오너쉽(root 가 가지고 있다) 을 확인하고 싶으면 [root@oracle ~]# ls -Rl /u01 로 확인할 수 있는데 (몽땅 root 밖에 안나옴) 나중에 oracle 이라는 유저를 만들어서 chown -R oracle 이 명령어로 오너쉽을 바꾸어주기로 하자. (지금 말고 나중에..

오라클 아키텍처 2023. 12. 11. 07:3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For You, a thousand times ov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